본문 바로가기

c#11

[멋쟁이사자처럼 Unity 게임 부트캠프 4기] 6일차 - 네임스페이스 & 열거형 & 구조체 [ 목차 ]  오늘은 네임스페이스와 구조체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  매일 블로그를 쓰면서이 내용 저 내용 다룰 때마다 파이팅 하자는 마음다짐의 글을 적고 시작하는데.. 사실 이제 뭘 적어야 할지 모르겠어요😢 그러니까!  그냥 파이팅^^!       1. 네임스페이스 (namespace) 네임스페이스란?클래스, 함수, 변수 이름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렇다고 다른 네임스페이스에 있는 것은 못 쓰냐? 그건 아니다. 쓸 수 있다.  함수를 구분하는 것처럼 구분하는 느낌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namespace dev1{ class MyClass { public static void SayHello() { //Console.Wr.. 2025. 3. 7.
[멋쟁이사자처럼 Unity 게임 부트캠프 4기] 5일차 & 6일차 - 함수 [ 목차 ]   배열을 넘겨.. 함수까지 왔습니다..  고등학교부터 수포자였던 저에게 함수 PTSD가 남아있는데요. . .   여기의 함수만이라도 극복할 수 있길.. . . . . 빕니다..  1. 함수(메서드)  함수란!! 무엇인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작성된 코드블록,재사용이 가능하며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쉽게 정리하자면 코드를 분리해서 호출한다.   왜 분리를 하는 걸까? 의 대답으로 코드가 점점 길어지면 관리하기 힘들 것이고, 묶어서 관리하면보기에도 편하고 수정도 용이하기 때문이다.위에서 가독성을 높인다는 것이 이런 말인 것 같다.  그렇게메인함수에서 전체 처리한 것을 나누어최대한 코드를 최소화하고 겹치는 코드가 없기 위해서 사용한다.  함수는 메서드라고도 불리는데void SayHello.. 2025. 3. 7.
[멋쟁이사자처럼 Unity 게임 부트캠프 4기] 5일차 (1) - 배열 & foreach [ 목차 ]   벌써 5일 차까지 왔습니다..작성일은 5일 차보다 한참 뒤이지만  5일 동안 정말 많은 것을 배웠다는 생각과  역시...독학을 했으면 절대 못했을 것 같다.  오늘도 힘차게 달려보자고!    1. 배열 배열이 무엇인가!?같은 타입의 데이터가 연속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는 것이다. 묶어서 하나의 이름으로 관리한다는 것이다.   배열은 선언 방법이 3가지 있다.간단한 선언과 초기화크기만 지정, 초기값 x초기화와 함께 선언//배열 선언 방법 3가지int[] numbers = { 1, 2, 3 }; //배열은 중괄호로 담고, 간단한 선언과 초기화int[] numbers2 = new int[3]; //크기만 지정, 초기값은 지정하지 않는다.int[] numbers3 = new int[] { 1, .. 2025. 3. 6.
[멋쟁이사자처럼 Unity 게임 부트캠프 4기] 4일차 (1) - switch 문 [ 목차 ] 오늘은 switch 문을 알아볼 것이다. switch..제가 아는 건 게임기 스위치 밖에 모르는데요..  하지만!if와 거의 다를 게 없다고 하니 if를 알면 잘 알 수 있다는 것..!  이번에는 그렇게 어렵지 않으니 헷갈리지만 말자!!        1. switch 문switch 문은 if 문과 같은 조건문이다.  그렇다면? if 문과 차이는 뭔가요?솔직히 가독성의 차이이고, 그렇게 다를 게 없다. 거의 비슷하다고 본다.   가독성의 차이이기 때문에 유동적으로 써주는 것도 좋을 것 같다.  간단한 날짜에 대해서 요일을 알려주는 코드를 작성해 보았다.if 문과 switch 문은 비슷하다곤 했지만 다른 부분이 있다. if (조건식)인 반면,switch (변수명)으로 시작한다. 여기에서 if와 .. 2025. 3. 5.
[멋쟁이사자처럼 Unity 게임 부트캠프 4기] 3일차 (2) - 조건문 [ 목차 ] 오늘은 조건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조건문은 어딜 가서 든 많이 쓰이는 만큼프로그래밍을 한 사람이라면 익숙할 것이다..  나는 게임 개발 찍먹 해봤을 때 경험해 보았는데..알 것 같으면서도 직접 코드 짜기엔 힘들었다..  이젠 제대로 알고 쓸 수 있겠ㅈ ㅣ..?    1. 조건문이란? (if / else) 말 그대로 어떠한 조건이 주어졌을 때 충족 여부에 따라 선택적 실행을 하고자 할 때 쓰는 문장이다.그러므로 조건의 결과에 따라 실행되는 게 달라지는 것이다.   조건문은 if / else 를 사용하는데,우선 if에서의 조건을 성립하면 if 안에 있는 조건을 수행하고,if에서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다면 else로 넘어간다.   예시로 점수를 구현하는 코드를 작성해 보았다. 정수형 점수.. 2025. 3. 4.
반응형

목차